임플란트 시술을 하려면 턱뼈가 충분히 튼튼하고 두꺼워야 합니다.
하지만 치아를 오래 잃은 상태로 방치하면 턱뼈가 흡수되어 약해져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뼈이식 수술을 통해 턱뼈를 보강한 후 임플란트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임플란트 뼈이식 수술비용, 종류, 절차, 주의사항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임플란트 뼈이식이 필요한 경우

- 치아 발치 후 오랜 기간 방치 → 턱뼈 흡수
- 치주염 등 잇몸 질환으로 인한 골 손실
- 사고·외상으로 인한 턱뼈 손상
- 선천적으로 턱뼈가 얇은 경우
2. 뼈이식 수술의 종류와 비용
2-1. 자가골 이식
- 본인 턱뼈, 턱 끝, 엉덩이뼈에서 뼈를 채취해 이식
- 장점: 거부 반응 없음, 생착률 높음
- 단점: 추가 채취 수술 필요
- 비용: 약 50만~150만 원
2-2. 동종골 이식
- 다른 사람(인체은행 기증자) 뼈를 가공·멸균 후 사용
- 장점: 채취 수술 불필요
- 단점: 일부에서 흡수율 높음
- 비용: 약 30만~100만 원
2-3. 이종골 이식
- 소·말 등 동물 뼈를 가공해 사용
- 장점: 구하기 쉬움, 가격 저렴
- 단점: 흡수율 높아 재수술 가능성
- 비용: 약 20만~80만 원
2-4. 합성골 이식
- 인공 합성물(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등) 사용
- 장점: 감염 위험 낮음
- 단점: 생착 속도 느림
- 비용: 약 20만~60만 원
3. 뼈이식과 임플란트 비용 총합
- 임플란트 1개 평균 비용: 100만~200만 원
- 뼈이식 병행 시: 추가 20만~150만 원
- 복잡한 케이스(상악동 거상술 포함): 300만 원 이상 가능
4. 뼈이식 수술 절차
- CT 촬영 및 진단: 턱뼈 상태와 이식 범위 확인
- 이식재 선택: 자가골·동종골·이종골·합성골 중 결정
- 수술: 잇몸 절개 → 이식재 주입 → 고정
- 치유 기간: 3~6개월 후 임플란트 식립
- 임플란트 시술: 최종 보철물 장착
5. 수술 후 관리
- 수술 부위 압박·자극 금지
- 항생제·소염제 복용
- 1~2주간 부드러운 음식 섭취
- 흡연·음주 최소 2주 이상 금지
6. 건강보험 적용 여부
- 일반적으로 미용 목적이 아닌 경우에도 임플란트와 뼈이식은 보험 적용이 제한적
- 단, 만 65세 이상 노인 임플란트는 일부 보험 지원 가능
- 골 이식 자체는 비급여 항목이 많아 병원별 상담 필수
7. 실제 사례
김 모 씨(58세)는 상악 치아 발치 후 10년 방치로 뼈 흡수가 심해 상악동 거상술+자가골 이식 후 임플란트를 진행했습니다.
총 비용은 임플란트 2개(각 150만 원) + 뼈이식(100만 원) = 약 400만 원이 들었습니다.
8. Q&A
Q1. 뼈이식 후 바로 임플란트가 가능한가요?
A. 뼈 상태에 따라 즉시 식립 가능하지만, 대부분 3~6개월 치유 기간이 필요합니다.
Q2. 뼈이식은 영구적인가요?
A. 대부분 영구적이나, 치주 질환 재발 시 재흡수 가능성이 있습니다.
Q3. 통증은 어느 정도인가요?
A. 국소마취로 수술 시 통증은 거의 없으나, 수술 후 며칠간 붓기와 뻐근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Q4. 흡연자도 가능하나요?
A. 가능하지만, 흡연은 혈액순환을 방해해 이식 성공률을 낮춥니다.
Q5. 어떤 이식재가 제일 좋은가요?
A. 성공률은 자가골이 가장 높지만, 케이스에 따라 병원이 적합한 재료를 권장합니다.
마무리
임플란트 뼈이식 수술은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만, 임플란트의 성공과 장기적인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수술 전 병원과 충분히 상담해 이식재 종류, 비용, 치유 기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